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알아 볼게요 .
자유자재로 리눅스를 다룰 수 있도록 기본적인 명령어들은 알아볼게요.
cd(change directory)
디렉토리 위치로 이동(변경?이라고 표현해도 되나)
cd [디렉토리 위치]
*options
cd : 홈 디렉토리로 이동
cd .. :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
cd ~ : 홈 디렉토리로 이동
pwd : 현재 위치 알고 싶을 떄 사용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s(list segements)
윈도우의 dir 과 유사한 명령어로 디렉토리 및 파일 정보 출력
ls 명령어는 /bin/ls 에 존재한다 .
*options
-a : all이란 뜻 , .을 포함하여 디렉토리내 모든 내용을 화면에 출력
-A : . 과 .. 을 제외한 모든 내용을 화면에 출력
-b : 알파벳 순서로 리스트 출력
-B : ~로 끝나는 백업 파일은 출력 하지 않음
-l : 파일 권한 , 소유자 이름 , 그룹 이름 등등 많은 정보 리스트 형으로 출력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history
리눅스에 로그인한 이후부터 실행한 명령어들의 리스트 출력.
환경변수 정보를 가지고 있고 , 보관할 명령어 개수 , 히스토리 크기 , 위치 등을 가지고 있음.
*options
- !번호 : history 에서 확인한 명령어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기능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alias
리눅스 명령어를 사용자 임의로 변경 또는 새로 만들어서 쓸 수 있습니다.
명령어 사용법 : alias alias_name='command'
여기서 주의사항!!!! 은 =표시 바로뒤에 띄.워.쓰.면 안됩니다.!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Redirection
리다이렉션(한국식으로 해석하면 방향을 다시 정해준다(?) 정도로 생각 할 수 있겠죠)
표준 스트림을 사용자가 지정한 곳으로 변경할 수 있어요.
* 표준 스트림이란 ? = 예를 들어 키보드 입력 > 모니터 출력 이것은 표준입력 > 표준 출력으로 표시하는 것이예요.
그치만 Redirection 을 사용하면 출력 위치를 바꾼다거나 할 수 있죠.
예를 들어 (명령어 > 파일) 로 입력하면 명령어 결과가 파일에 저장 (모니터 출력이 아닌 파일에 출력하는 느낌?)
*Redirection 종류
> : '=1>' 와 같은 것으로 1의 뜻은 표준 출력 (출력 방향 전환으로 파일 존재하면 덮어씁니다.)
>> : '=1>>' 와 같은 의미로 (표준출력 방향 전환 후 파일 존재하면 덮어쓰지않고 추가함다 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파이프(pipe)
파이프는 어떤 명령어의 실행 결과를 다른 명령어의 입력으로 전달 하는 명령어
명령어1 | 명령어 2 형태로 사용함돠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du(disk usage)
폴더와 파일 디렉토리 용량을 알고 싶으실 때가 있겠죠?? ...용량이 부족하다거나 ,, 정리를 하고싶다거나 ,,
용량 확인하기 위해 쓰는 명령어 입니다.
*options
- du : 아무 옵션이 없을 떄는 현재 디스크 공간을 보여줘요 (단위는 kbyte)
- b : byte 단위로 용량을 표시
- h : 1K , 200M , 3G 처럼 단위 읽기 쉽게 표시
- s [디렉토리 ] : 디렉토리 총사용량만 표시
-sh 처럼 같이 쓰면 둘의 옵션을 다 사용해요 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프로그래밍 공부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명령어 위치 확인 (0) | 2020.04.04 |
---|---|
리눅스 파일 압축, 아카이브와 백업의 차이 (0) | 2020.04.04 |
시스템 구조, 파일 시스템 , 파일 시스템 생성 (0) | 2020.03.31 |
사용자 조회 명령 (0) | 2020.03.31 |
리눅스 그룹 생성,변경,삭제 (0) | 2020.03.29 |
댓글